본문 바로가기
ㆍ공부 자료/ㆍ기능사

1. 표면처리기능사 문제 풀이 (2015년)

by 조브로님 2024. 9. 6.
728x90
반응형

24년 마지막 4회 기능사 필기 접수가 저번주에 끝나고, 이제 필기 시험이 2주 정도 남은 상태일겁니다.

응시자들에게 조금 더 접근이 쉽게 문제풀이를 할려고 합니다.

관련 서적은 문제와해설 참고 하시면 됩니다.

ㆍ2015년 기출

1. 열과 전기의 전도율이 가장 좋은 금속은?

① Cu

② Al

③ Ag

④ Au

해설 :

전도율은 물체에 전류가 잘 흐르는 정도를 표시하는 양을 말한다.

은 > 구리 > 금 > 알루미늄 > 텅스텐 > 아연 > 황동 > 니켈 > 철 > 청동 > 백금 > 납 > 규소

문제와해설 개정 9판 53P 참조

2. 섬유 강화 금속 복합 재료의 기지 금속으로 가장 많이 사용 되는 것으로 비중이 약 2.7인 것은?

① Na

② Fe

③ Al

④ Co

해설 :

비중은 물질의 고유 특성으로서 기준이 되는 물질의 밀도에 대한 상대적인 비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액체의 경우 1기압 하에서 4℃ 물을 기준으로 하고, 기체의 경우에는 20℃ 공기를 기준으로 한다.

철 7.87, 구리 8.96, 납 11.35, 수은 13.56, 마그네슘 1.74

티타늄 4.5를 기준으로 가벼우면 경금속 무거우면 중금속으로 표기

(나트륨 0.97, 칼륨 0.86, 리튬 0.53) 나칼리 < 물 < *20배 (금 19.3. 텅스텐 19.3, 백금 21.5, 이리듐 22.5) 금텅백이

문제와해설 개정 9판 379P 참조

3. 60%Cu – 40% Zn 황동으로 복수기용 판, 볼트, 너트 등에 사용 되는 합금은?

① 톰백 (Tombac)

② 길딩메탈 (Gilding metal)

③ 문쯔메탈 (Muntz metal)

④ 애드미럴티메탈 (Admiralty metal)

해설 :

Cu + Zn = 황동, Cu + Sn = 청동 / 황아청주

톰백 : 황금에 가장 가까운 빛깔을 지닌 구리 합금 (8~20% 아연 첨가)

길딩메탈 : 소총탄 뇌관, 포탄의 탄대 등 사용 (3~5% 아연 첨가)

애드미럴티 황동 : 황동(70%이상의 Cu) + 1%의 주석

4. 알루미늄과 마그네슘의 합금으로 바닷물과 알칼리에 대한 내식성이 강하고 용접성이 매우 우수하여 주로

선박용 부품, 화학 장치용 부품 등에 쓰이는 것은?

① 실루민

② 하이드로날륨

③ 알루미늄 청동

④ 애드미럴티 황동

해설 :

실루민 : 알루미늄에 규소를 가한 주물용 합금 (12% Si)

하이드로날륨 : 알루미늄에 10%까지의 마그네슘을 첨가한 내식 알루미늄 합금으로, 알루미늄이 바닷물에 약한 것을 개량하기 위하여 개발된 합금이다.

알루미늄 청동 : 구리에 알루미늄이 약 10% 들어 있는 합금을 말한다.

애드미럴티 황동 : 황동(70%이상의 Cu) + 1%의 주석

5. 주변 온도가 변화하더라도 재료가 가지고 있는 열팽창계수나 탄성계수 등의 특정한 성질이 변하지 않는 강

은?

① 쾌삭강

② 불변강

③ 강인강

④ 스테인리스강

해설 :

쾌삭강 : 저탄소강의 하나이다. 절삭 가공을 쉽게 하기 위하여 황, 납, 인, 망간 등을 미량으로 혼합하여 만든 특수한

강이다.

불변강 : 기계 제조용 강철과 니켈의 합금, 팽창계수가 아주 작고, 성질이 변하지 않는다.

강인강 : 강도와 인성이 뛰어난 강철

스테인리스강 : 철의 내식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모든 내식용 강의 총칭

6. 주철의 유동성을 나쁘게 하는 원소는?

① Mn

② C

③ P

④ S

해설 :

유동성은 용융금속이 주형 내로 흘러 들어가는 성질을 말하며 주조성을 이루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일반 주출의 성분 C, Si, Mn, P, S이 5대 원소이다.

탄소는 주철을 단단하고 강하게 하고, 그 양이 너무 많으면 단단하여 여려진다.

규소는 탄성한도, 경도, 결정립 크기를 증가 시킨다.

망간은 황에 의한 적열취성을 예방하고, 절삭성을 개선시킨다.

인은 편석, 상온취성의 원인이 되고, 화합물을 만든다. 그리고 상온에서 충격치를 저하시킨다.

황은 강의 유동성을 해치고, 적열취성의 원인이 된다.

7. 강자성체 금속에 해당 되는 것은?

① Bi, Sn, Au

② Fe, Pt, Mn

③ Ni, Fe, Co

④ Co, Sn, Cu

해설 :

강자성체는 외부에서 자기장을 걸어주었을 때 그 자기장의 방향으로 강하게 자화된 뒤 외부 자기장이 사라져도 자화가 남아 있는 물질을 말한다. Fe, Ni, Co (강철니코)

상자성체는 외부의 자기장이 있으면 자기적 성질을 가지지만, 외부의 자기장이 사라지면 다시 자기적 성질을 잃는 성질이다. Al, Pt, Sn, Mn, Cr (상알백주망크)

반자성체는 외부 자기장에 반대 반향으로 자기모멘트를 가지는 물질을 말한다. Cu, Sb, Zn, Ag, Au, Bi (반구안아은금비)

문제와해설 개정 9판 383P 참조

8. 시편의 표점거리가 125mm, 늘어난 길이가 145mm 이었다면 연신율은?

① 16%

② 20%

③ 26%

④ 30%

해설 :

(늘어난길이 – 표점거리) / 표점거리 * 100

(145 - 125) / 125 * 100 = 16%

9. 다음 금속 중 용융 상태에서 응고할 때 팽창하는 것은?

① Sn

② Zn

③ Mo

④ Bi

해설 :

비스무트는 원자번호 83번의 원소로 원소 기호는 Bi이다. 창연이라고도 부른다.

비스무트는 액체 상태에서 고체로 응고할 때 부피가 3.32% 증가한다.

10. 강에서 상온 메짐(취성)의 원인이 되는 원소는?

① P

② S

③ Mn

④ Cu

해설 :

메짐이란 취성이라고도 한다. 물체에 탄성한계 이상의 힘을 가했을 때, 영구 변형을 하지 않고 파괴 되거나 또는 극히 일부만 영구 변형을 일으키는 성질을 말한다.

일반 주출의 성분 C, Si, Mn, P, S이 5대 원소이다.

탄소는 주철을 단단하고 강하게 하고, 그 양이 너무 많으면 단단하여 여려진다.

규소는 탄성한도, 경도, 결정립 크기를 증가 시킨다.

망간은 황에 의한 적열취성을 예방하고, 절삭성을 개선시킨다.

인은 편석, 상온취성의 원인이 되고, 화합물을 만든다. 그리고 상온에서 충격치를 저하시킨다.

황은 강의 유동성을 해치고, 적열취성의 원인이 된다.

11. 비파괴검사가 아닌 것은?

① 자기탐상시험

② 침투탐상시험

③ 샤르피충격시험

④ 초음파탐상시험

해설 :

파괴시험은 재료에 충격을 주거나 파괴를 하여 재료의 인성, 강도, 기계적 성질 따위를 평가하는 검사

비파괴검사시험은 제품을 파괴하지 않고 외부에서 검사하는 방법

비파괴검사 종류는 육안시험(VT), 자기탐상시험(MT), 침투탐상시험(PT), 와전류탐상시험(ECT), 누설검사(LT),

방사선투과시험(RT), 초음파탐상시험(UT) 등 일반적으로 NDT라고 한다.

샤르피 충격시험은 진자식 해머 운동에 의한 시험으로 충격굽힘 또는 충격인장 시험이라고 하는데, 노치로 된 시험편을 순간적으로 충격을 가해 파단 시킨후, 파괴가 연성 파괴인가 취성 파괴인가를 판정하는 시험이다.

12. 구상흑연주철에서 그 바탕조직이 펄라이트이면서 구상흑연의 주위를 유리된 페라이트가 감싸고 있는 조

직의 명칭은?

① 오스테나이트(austenite) 조직

② 시멘타이트(cementite) 조직

③ 레데뷰라이트(ledeburite) 조직

④ 불스아이(bull’s eye) 조직

해설 :

가단주철이나 구상 흑연 주철로 흑연이 완전히 구상으로 되고 그 주위를 페라이트가 동심원상으로 둘러싸고 있는 조직이다. 마치 황소의 눈과도 같아서 이 이름이 붙여졌다. 바탕은 펄라이트이다.

 

13. 황산구리 도금액에서 양극에 함인동판을 사용하는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양극판의 소모가 적기 때문에

② 도금액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③ 도금액의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④ 양극판에서 구리분말이 발생하는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해설 :

황산구리의 양극은 종래에는 전기동 또는 전기동판을 사용하였으나 구리 및 산화구리의 미세한 입자가 슬러지로 많

이 발생되어 도금 불량의 원인이 된다. 최근에는 광택 도금이 보편화 되었기 때문에 인(P)을 함유한(0.01~0.05%) 함인동을 사용한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144P 참조

14. 다음 중 화학연마에서 전해연마의 전압이나 전류와 같은 역할을 하는 화학연마의 조건은?

① 산의 농도

② 전압의 종류

③ 연마석의 종류

④ 소지 표면색상

해설 : 전해연마는 고농도의 산이나 알칼리 용액에서 가공물을 양극에서 하여 전기적으로 용해시켜 표면을 평활하게 만드는 방법이다.

화학연마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산이나 알칼리 용액에서 화학반응에 의해 볼록한 표면을 용해시켜 평활한 표면을 얻는 방법이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42P 참조

15. 니켈 도금액은 와트 표준액으로 만들었고, 1개월 사용한 뒤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더니 황산니켈이 15g/L

부족하였다. 도금탱크의 사용 용적 크기가 100㎝ x 50㎝ x 100㎝ 이라면 이때 보충할 황산니켈의 양은

얼마인가?

① 5000g

② 7500g

③ 10000g

④ 12500g

해설 :

1kg = 1000g

1L = 1000mL

1m = 100cm

100cm x 50cm x 100cm = 500,000 x 15g/L = 7,500,000 / 1,000 = 7,500

1m x 0.5m x 1 = 0.5 x 15 = 7.5 * 1,000 = 7,500g/L

16. 다음 중 버프연마에 사용 되는 청봉의 주성분에 해당하는 것은?

① SiO2

② Fe2O3

③ Cr2O3

④ Al2O3

해설 :

트리폴리(Tripoli) : 중연마용으로 무수규산 규석분이 주성분 (SiO2)

크로커스(Crocus) : 산화철 (Fe2O3)의 미분말 혼합

비엔나라임(Vienna lime) : 광택 연마용 (MgO, CaO)

백봉 : 비금속용 (Al2O3)

청봉(Green rouge) : 광택 연마용, 산화크롬 (Cr2O3)이 주원료

적봉(Rouge) : 금, 은 광택연마 (Fe2O3)

흑봉 : 고무, 플라스틱 연마용

문제와해설 개정 9판 39P 참조

17. 시안화구리도금액 중 과잉의 Na2CO3를 제거하기 위하여 Ca(OH)2를 사용하면 도금액의 pH 값은 어떻

게 되는가?

① pH값은 변하지 않는다.

② 산성쪽으로 더 가까워진다.

③ 알칼리성 쪽으로 더 가까워진다.

④ 알칼리성에서 중성쪽으로 더 가까워진다.

해설 :

탄산나트륨의 증가는 시안화나트륨과 수산화나트륨의 분해에 의한 것이다. 탄산나트륨은 최대 허용 값이 60g/L이다.

pH는 수소 이온 농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pH의 수치가 낮을수록 수용액은 더 산성이며, 수소 이온의 농도가 높음을 나타낸다. pH가 높을수록 수용액은 더 염기성이며 수산 이온 농도가 높아진다.

시안화구리도금액 성분은 시안화구리, 시안화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주석산염, 티오시안화칼륨이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144P 참조

 

18. 다음 중 핀홀(pin hole)에 대한 방지대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pH 값을 5.5이상으로 조정한다.

② 약간 낮은 전류밀도로 작업한다.

③ 전처리 작업을 조건에 맞추어 철저히 한다.

④ 도금액의 교반을 좀 더 강하고 고르게 한다.

해설 :

핀홀은 도금면에서 소지까지 구멍이 관통한 미세한 구멍 피트는 도금액에서 수소 가스가 완전히 방출되지 못하고 도금면에 눈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 작은 구멍이 발생한 상태 핀홀 대책은 광택제 비율조정, 활성탄처리 여과, pH조정, 온도조정, 약전해 실시

문제와해설 개정 9판 36P 참조

19. 다음 중 아연도금액 관리에서 M비(比)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전체 탄산나트륨 (Na2CO3) / 금속아연 (Zn)

② 전체 수산화나트륨 (NaOH) / 금속아연 (Zn)

③ 액 중 전체 시안화나트륨량 (NaCN) / 액 중 전체금속 아연량 (Zn)

④ 시안화나트륨 (NaCN) + 수산화나트륨 (NaOH) / 금속아연 (Zn)

해설 :

아연도금의 도금액 관리 방법

R비 = 시안화나트륨(NaCN)+수산화나트륨(NaOH) / 아연(Zn)

M비 = 전체시안화나트륨(NaCN) / 금속아연(Zn) = 2.0~3.0

M비가 낮을수록 전류효율은 높아지나 균일 전착성은 저하된다.

M비가 저온일 때 2.0, 고온일 때 3.0이 좋고, 배럴도금에서는 2.5~3.2가 좋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152P 참조

20. 다음 중 용제탈지 (solvent cleaning)에 사용하는 용제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수산화나트륨

② 탄산나트륨

③ 시안화나트륨

④ 트리클로로에틸렌

해설 :

용제의 종류로는 등유, 트리클로로에틸렌, 퍼클로에틸렌, 사염화탄소, 벤젠 등

※용제 구비 조건 참조

문제와해설 개정 9판 48P 참조

21. 다음 중 도금액 내 금속성분을 많게 할 때의 일반적인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색과 광택이 좋아진다.

② 전류의 흐름이 좋아진다.

③ 도금액 조성의 변동이 적다.

④ 액의 누출에 의한 금속성분의 손실이 적어진다.

해설 :

도금액의 농도를 높였을 때 장점, 단점 이해

문제와해설 개정 9판 34P 참조

22. 걸이(rack) 제작시 쓰이는 주요 금속 중 구리의 전도도를 100%로 했을 때 전도도가 가장 낮은 금속은?

① 인청동

② 스테인리스강

③ 황동 (Cu 60%, Zn 40%)

④ 알루미늄 및 그 합금

해설 :

전도율은 물체에 전류가 잘 흐르는 정도를 표시하는 양을 말한다.

은 > 구리 > 금 > 알루미늄 > 텅스텐 > 아연 > 황동 > 니켈 > 철 > 청동 > 백금 > 납 > 규소

문제와해설 개정 9판 53P 참조

23. 전기도금 직전에 소재의 표면을 도금액의 pH에 맞추는 처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탈지

② 중화처리

③ 탈청

④ 활성화처리

해설 :

전기도금 직전에 공정으로 소재의 표면을 도금액의 pH에 맞추는 처리, 중화액이 타 도금액에 들어가면 나쁜 영향을

끼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45P 참조

24. 다음 중 광택니켈도금에서 도금액에 의한 피트 발생 결함의 원인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① 전처리가 불량할 때

② 전류밀도가 낮을 때

③ 니켈의 농도가 부족할 때

④ 붕산의 농도가 부족할 때

해설 :

원인(대책)

니켈 농도 부족(황산 니켈을 보충)

붕산 농도 부족(붕산을 보충),

pH부적당(pH를 알맞게 조정)

유기 무기산이 혼입(약전해 및 활성탄을 첨가한 후 여과),

교반 불량(균일한 교반)

전처리 불량(전처리 및 수세 철저)

소재 표면 불량(소재 표면 연마 상태 관리)

온도가 낮다(온도를 규정치 범위로 관리)

문제와해설 개정 9판 146P 참조

25. 다음 중 도금액에 사용되는 보조약품들의 역할이 아닌 것은?

① 액의 전도도를 높인다.

② pH를 조정 또는 유지한다.

③ 도금액의 불순물을 제거한다.

④ 도금면의 피트 생성을 촉진한다.

해설 :

주약품의 역할, 보조 약품의 역할 이해

문제와해설 개정 9판 34P 참조

26. 다음 중 리드 프레임 제조를 위해 동박에 은 (Ag) 도금한 후 반드시 필요한 공정은?

① 변색방지 처리

② 인산염 처리

③ 산화풀림 처리

④ 스트라이크 구리도금

해설 :

Ag는 공기중에서 산소와 결합하여 Ag2O로 되거나 공기 중의 SO2 가스와 반응하여 Ag2SO4로 변색된다.

변색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금을 한 후 투명락카 처리나, 크롬산염을 주성분으로 침지형 전해형태로 처리 하는 방법이 있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156P 참조

27. 다음 중 도금된 제품을 규정 온도로 일정시간 동안 가열한 후 급랭 시켜 부풀음이나 까짐 등을 살피는 시

험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EC 시험

② 열충격 시험

③ 굴곡 시험

④ 코로드코트 시험

해설 :

내식성 시험의 종류로는 유공도시험(페록실시험), 염수 분무 시험, 코로드코트시험, EC시험, 옥외 방치 시험, 아황산가스시험 등이 있다.

밀착성 시험의 종류로는 굴곡시험, 줄시험, 연삭시험, 강구압입시험, 급랭(열충격)시험, 가열시험, 함마시험, 부착량시험 열사이클 시험 등이 있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308P 참조

28. 다음 중 플래시(flash) 도금 및 스트라이크 도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플래시라 함은 극히 엷은 도금을 말하고, 스트라이크라 함은 정상의 전류밀도보다 높은 전류밀도로 단시

간에 도금을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② 플래시라 함은 두꺼운 도금을 말하고, 스트라이크라 함은 정상의 전류밀도로 단시간에 도금을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③ 플래시라 함은 극히 엷은 도금을 말하고, 스트라이크라 함은 정상의 전류밀도보다 낮은 전류밀도로 장시

간에 도금을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④ 플래시라 함은 두꺼운 도금을 말하고, 스트라이크라 함은 정상의 전류밀도보다 낮은 전류밀도로 장시간에

도금을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해설 :

플래시도금은 극히 단시간에 행하는 얇은 도금을 말하고 (예, 전주도금에서 전주품의 박리를 양호), 스트라이크도금은 도금전에 전착성(밀착성)이 우수한 얇은 피막을 형성하기 위해서 한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32P 참조

29. 다음 중 써전트용 (장식용 크롬도금욕)의 주성분으로만 나열한 것은?

① 수산화칼륨, 물

② 탄산나트륨, 염산

③ 무수크롬산, 황산

염화니켈, 수은

해설 :

크롬도금의 주성분으로는 무수크롬산과 황산을 100:1로 한다.

무수크롬산은 크롬의 보급원이며, 일부가 +6가에서 +3가로 환원된다.

황산은 촉매 작용을 하며 황산의 양은 전류효율, 광택 전류 밀도 범위, 피복력에 영향력이 크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150P 참조

30. 다음 중 도금 두께 시험에 있어 비파괴 시험에 속하는 것은?

① 현미경측정법

② 적하시험법

③ 전해식법

중량법

해설 :

도금 두께 시험중 비파괴 시험은 맴돌이시험, 자기력식, 형광 X선, β선식, 중량차에 의한 방법 등이 있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307P 참조

31. 다음 중 양극 전해 탈지 방법에서 음극에 사용하는 금속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철강

② 마그네슘

③ 알루미늄

니켈

해설 :

전해탈지는 제품을 음극 또는 양극에 걸어 전해하는 방법으로서 전해액은 보통 알칼리수용액을 사용한다. 전해에 의해서 발생되는 가스가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교반하거나 음극환원 및 양극산화가 탈지 작용을 한다. 이 방법은 유지류를 제거하는데 매우 빠르고 확실하기 때문에 주로 최종 탈지 과정에 이용된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50P 참조

32. 다음 중 산세척 공정에 있어 억제제(inhibito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녹 제거를 촉진하기 위해 첨가한다.

② 소재의 부식을 촉진하기 위해 첨가한다.

③ 녹과 철 소재의 경계에 침투해서 녹을 격리하는 작용이 있다.

④ 노출 된 금속 표면에 얇은 보호 피막을 형성하여 부식을 방지한다.

해설 :

산세척 공정에서 오버 피클링 (산세척 과잉이 되어 소재를 거칠게 부식시켜 버리는 상태)이 되어 소재가 부식 되는

것을 방지한다. 종류로는 아교, 젤라틴, 어니일링, 티오요소, 키놀린, 피리징 등 각종 유기화합물이 있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44P 참조

33. 황산구리도금에서 산성구리 (원자가 2)의 전기화학당량은? (단, 구리의 원자량은 63.54이다.)

① 31.77

② 63.54

③ 127.08

④ 254.16

해설 :

화학당량 = 원자량 / 원자가 = 63.54 / 2 = 31.77

문제와해설 개정 9판 44P 참조

34. 양극에서 발생하는 산소에 의해 양극표면에 안정한 산화물층이 생겨서 양극이 불용성으로 되는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활성태

② 부동태

③ 안정상태

④ 평형상태

해설 :

부동태가 형성 되면 전기화학 반응이 크게 저지 되어 양극용해가 억제 되므로 신속히 양극 부동태 피막을 제거해 주어야 한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101P 참조

35. 다음 중 염기가 아닌 것은?

① KOH

② Ba(OH)2

③ NaOH

④ Na2SO4

해설 :

염기란 일반적으로 수용액 상태에서 해리하여 수산화이온을 내놓는 물질, 즉 염기성 (pH > 7)을 나타낸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101P 참조

36. 다음 중 이온화 경향이 가장 큰 금속은?

① 나트륨

② 구리

③ 니켈

④ 아연

해설 :

이온화경향이란 원자 또는 분자가 이온이 되려고 하는 경향을 말한다.

K > Ca > Na > Mg > Al > Zn > Cr > Fe > Cd > Co > Ni > Sn > Pb > (H) > Cu > Hg > Ag > Pt > Au

칼 카 나 마 / 알 아 크 철 / 카 코 니 / 주 납 / 수 구 / 수 은 백 금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일수록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되려는 경향이 있다. (반응성이 크다)

이온화 경향이 작은 금속일수록 쉽게 전자를 얻어 환원이 잘 된다. (반응성이 작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96P 참조

37. 다음 중 용액의 농도를 표시하는 단위가 아닌 것은?

① %

② N

③ M

④ pH

해설 :

백분율 농도 (%) – 중량 백분율은 통상적으로 각종 액체 시약의 농도를 나타내는데 흔히 사용된다.

몰 농도(mol/L) – 용액 1L속에 녹아 있는 용질의 몰 수를 의미한다.

규정농도 (N, Normal) – 용액 1L속에 녹아 있는 용질의 g 당량수이다. g 당량수는 몰 농도를 양의 하전수로 나눈값.

pH – 수소 이온 농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용액의 산성이나 알칼리성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문제와해설 개정 9판 96P 참조

38. 다음 중 용액의 액성을 변화 시키려는 외력에 저항하는 성질을 가진 용액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혼합용액

② 유기 용제

③ 완충 용액

④ 비전해질 용액

해설 :

완충용액은 약산과 그 염의 용액 또는 약염기와 그 염의 용액은 강산과 강염기와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96P 참조

39. 다음 중 다니엘 전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아연판은 (+)극이다.

② (-)극에서 수소기체가 발생한다.

③ 아연판에서 산화반응이 일어난다.

④ 전자는 구리판에서 아연판으로 이동한다.

해설 :

다니엘 전지는 화학반응 통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 시키거나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장치이다.

Zn 전극 (산화전극 anode) : Zn(s) → Zn2+(aq) + 2e-

Cu 전극 (환원전극 cathode) : Cu2+(aq)+2e- → Cu(s)

aq(aqueous), s(solid), l(liquid), g(gas)

40. 다음 중 전해질 용액에 불용성 극을 담그고 전류를 통하면 분해전압에서 전류는 어떻게 되는가?

① 일정하게 흐른다.

② 갑자기 크게 흐른다.

③ 흐르지 않는다.

④ 갑자기 작게 흐른다.

해설 :

전해질 용액 속에 설치한 두 전극 사이의 전압을 서서히 증가 시키면 어느 전압까지는 전류의 증가가 완만하다가 갑자기 전류가 증가하게 되는 지점을 분해전압이라 한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100P 참조

41. 다음 중 인산염 피막처리의 표면조정 방법과 관계가 없는 것은?

① 알로딘(Alodine)법

② 옥살산(Oxalic acid) 세척법

③ 와이핑 이펙트(Wiping effect)법

④ 알칼리 콜로이도(Alkali Colloid) 티탄 세척법

해설 :

표면조정은 피막화성전 세척처리를 말하고,

알로딘법은 알루미늄의 착색법으로 방청을 겸한 도장하지의 화학처리 피막법이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213P 참조

42. 다음 중 인산염 피막처리의 일반적인 공정 순서로 가장 올바른 것은?

① 사전처리 → 봉공처리 → 피막화성 → 표면청정 → 사후처리

② 사전처리 → 표면청정 → 봉공처리 → 피막화성 → 사후처리

③ 사전처리 → 표면청정 → 피막화성 → 봉공처리 → 사후처리

④ 사전처리 → 피막화성 → 봉공처리 → 표면청정 → 사후처리

해설 :

사전처리는 조립을 해체하고 필요 없는 부이는 부분 마스킹 처리를 하는것을 말한다.

표면청정은 탈지를 충분히 하고, 주물은 산, 알칼리 처리를 피하며, 특수강은 산세를 하지 않는다.

피막화성은 방청, 내마멸용, 도장바탕용, 소성 가공 윤활용 등 용도에 맞게 처리한다.

봉공처리는 피막의 방청성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처리한다.

사후처리는 가공물 표면에 때는 브러시, 스틸울로 닦아내고, 재질에 따라서 수소취성을 제거한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213P 참조

43. 양극산화피막의 흡착성을 감소시켜 내식성, 내오염성, 내광성,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처리를 무엇이라 하

는가?

① 착색 처리

② 봉공 처리

③ 산세 처리

④ 탈지 처리

해설 :

양극산화피막(아노다이징)은 다공질이며 흡착성이 있어서 염색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양극산화 된 그대로의 상태로 사용하면 부식성 물질에 의하여 부식 및 변색, 오물의 부착, 흡착염료가 흘러나와 탈색 되기 때문에 다공질의 구멍을 메워줘야 한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223P 참조

44. 다음 중 알루미늄의 양극산화처리에서 합금으로서 내식성 및 피막의 상태를 매우 나쁘게 하는 원소는?

① Cu

② Mg

③ Mn

④ Cr

해설 :

Al 10계 (순수 알루미늄)

20계 (Al-Cu계열)

30계 (Al-Mn계열)

40계 (Al-Si계열)

50계 (Al-Mg계열),

60계 (Al-Mg-Si계열)

70계 (Al-Zn계열)

80계 (Al-Li계열)

Mg, Mn은 기계적 성질을 현저히 향상 시킨다.

Cu, Si은 외관에는 영향이 거의 없으나, 피막의 상태는 대단히 저하되고, Cu는 내식성을 매우 나쁘게 한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223P 참조

45. 다음 중 플라스틱 도금의 전처리 약품과 관계 없는 것은?

① PbSO4

② SnCl2

③ CrO3, H2SO4

④ PdCl2, AgNO3

해설 :

표면조정 및 탈지 (탄산나트륨, 삼인산나트륨), 화학 에칭 (크롬산, 황산, 인산, 중크롬산)

중화처리 (묽은 산, 묽은 알칼리), 감수성부여처리 (염화제일주석, 염산), 활성화처리 (염화팔라듐, 염산)

캐탈리스팅 (염화제일주석, 염화팔라듐), 엑셀러레이션 (묽은 염산, 산성염 수용액, 황산, 수산화나트륨 등

문제와해설 개정 9판 223P 참조

46. 다음 중 물리적 기상도금(PVD)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진공증착법

② 스퍼터링법

③ 이온도금법

④ 고체확산법

해설 :

화학적기상도금(Chemical vapor plating)의 종류로는 열분해법, 수소환원법, 화학반응법, 광화학반응법이 있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234P 참조

47. 다음 중 용융아연도금에서 430~460℃의 도금욕 온도에서 철과 아연이 반응하여 생기는 물질은?

① Scail

② Spangle

③ Dross

④ Smut

해설 :

내식, 내산화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비교적 두꺼운 도금층을 얻기 위함이다.

이용 되는 금속으로는 아연, 주석, 납, 알루미늄이 있다.

욕중의 철은 욕과 반응하여 생성물로 남으며, 과 용해된 철분은 밑으로 가라 앉아서 드로스를 형성한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229P 참조

48. 다음 중 금속용사법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① 윤활성이 좋고 내마멸성이 크다.

② 금속 이외의 합금, 비금속 물질에도 가능하다.

③ 피막의 형성 속도가 빠르고 두꺼운 막을 형성할 수 있다.

④ 다른 표면 처리법보다 내식성이 우수하며, 분진의 발생이 적다.

해설 :

금속용사란 압축 된 공기를 용융된 금속에 보내어 분무상으로 물체의 표면에 분사하여 금속의 피복층을 만들어 주는 방법을 말한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231P 참조

49. 도금공장에서 작업자가 염산, 질산, 황산, 인산 등과 같은 산류를 마셨을 때 응급 처치법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① 우유, 계란 등을 먹이고 의사를 부른다.

② 맑은 물을 먹이고, 사리염을 한잔 먹인다.

③ 과망산칼륨을 물에 타서 먹이고 구토제로 토하게 한다.

④ 레몬주스, 묽은 식초, 우유를 먹이고 의사를 부른다.

해설 :

산류가 피부, 의류에 접촉 되었을 때는 다량의 물로 씻고, 중조수로 닦아낸다.

산이 눈에 들어갔을 때는 즉시 15분정도 깨끗이 물로 씻고, 안과치료를 받는다.

잘못 마셨을때는 급히 입안을 헹구고 우유 또는 계란 흰자위와 마그네시아를 마신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338P 참조

50. 다음 중 무전해 구리 도금에서 환원제로 사용 되는 것은?

① 황산구리

② 포르말린

③ 주석산염

④ 폴리에틸렌 글리콜

해설 :

무전해 구리도금의 원리는 구리이온에서 환원제에 의해 금속구리를 석출 시키며, 인쇄회로기판의 전도성 부여를 목적으로 한다.

구리이온의 공급(황산구리)

원제(르말린), 포환

화제(셀염,EDTA), pH조제(산화나트륨), 롯착 수정

pH완제(산나트륨), 정제(오요소, 시안화나트륨 등), 습윤제(계면활성제) 탄충 티안

문제와해설 개정 9판 221P 참조

51. 다음 중 TCE(Trichloroethylene) 탈지 작업시 유의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고온 상태에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② 배기 설비가 잘되는 곳에서 작업을 한다.

③ 눈이나 피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④ 마스크를 착용하면 장시간 연속작업도 가능하다.

해설 :

트리클로르에틸렌, 퍼클로에틸렌 사용시 주의사항

-증기를 장시간 흡입하는 것은 위험하므로 배기장치가 좋은 장소에서 보호구를 사용한다.

-물이 들어가면 유해가스가 발생하므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눈이나 피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339P 참조

52. 다음 중 무전해 도금액의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환원제 : 금속 이온에 전자를 주어 금속으로 환원 시킨다.

② 완충제 : pH의 조정을 위해 사용한다.

③ 안정제 : 도금액의 자연 분해를 억제한다.

④ 착화제 : 도금 속도를 촉진 시킨다.

해설 :

착화제란 일반적으로 금속이온 주위에 배위하여 착이온을 생성하는 분자 또는 이온을 말한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220P 참조

53. 다음 중 철강의 흑착색에 사용 되는 약품의 성분이 아닌 것은?

① 아질산나트륨

② 탄산나트륨

③ 황화나트륨

④ 수산화나트륨

해설 :

철강의 착색 사용 약품 (흑색)

-중크롬산나트륨, 중크롬산칼륨을 1:1 중량비로 한다.

-스테인리스강용으로는 황산 18%, 중크롬산나트륨 5% 비율로 한다.

-그밖의 스테인리스강은 수산화나트륨 35%, 아질산나트륨 8%, 식염 7%, 탄산나트륨 2%에서 처리한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216P 참조

54. 다음 중 인산염 피막처리의 피막형태가 아닌 것은?

① 인산아연 피막

② 인산망간 피막

③ 인산철 피막

④ 인산크롬 피막

해설 :

인산염 피막처리의 형태로는 인산아연, 인산망간, 인산철이 있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213P 참조

55. 철 소재에 대하여 금속을 확산, 피복시키는 금속 침투법 중 세라다이징 (sheradizing)법에 사용 되는 금속

은?

① 규소

② 아연

③ 크롬

④ 알루미늄

해설 : 금속침투법은 피복하고자 하는 물품을 가열하여 그 표면에 다른 종류의 피복 금속을 부착 시키는 동시에 확산에 의해 합금 피복층을 얻는 방법이다.

아연침투법 (세라다이징)

크롬침투법 (크로마이징)

알루미늄침투법 (칼로라이징)

규소침투법 (실리코나이징)

붕소침투법 (보로나이징)

문제와해설 개정 9판 223P 참조

56. 양극산화법에 의해 1dm2 의 양극 알루미늄에 Al2O3가 12.57mg 생성 되었을 때의 피막 두께는 약 몇

㎛인가? (단, 피막의 밀도는 2.9g/㎤ 이다.)

① 27.5

② 34.1

③ 43.3

④ 45.7

해설 :

체적 = 중량 / 비중

1미크론은 1mm을 1000등분한 한 개의 눈금이다. 1mm = 1,000㎛

1dm² = 10cm * 10cm = 100㎠

1mg = 0.001g

12.57 / 1000 = 0.01257g

x = 0.01257g / 2.9 = 0.00433cm * 10,000 = 43.3㎛

57. 광택 크로메이트 처리의 각 공정이 다음 [보기]와 같을 때 올바른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보기] 수세 / 크로메이트 처리 / 질산에 담금 / 건조 / 도금

① 도금 → 수세 → 크로메이트 처리 → 수세 → 질산에 담금 → 건조

② 도금 → 수세 → 질산에 담금 → 크로메이트 처리 → 수세 → 건조

③ 도금 → 질산에 담금 → 수세 → 크로메이트 처리 → 수세 → 건조

④ 도금 → 크로메이트 처리 → 수세 → 질산에 담금 → 수세 → 건조

해설 :

크로메이트 처리는 6가 크롬을 함유하는 처리액중에 담금법 또는 전해 방법으로 각종 금속 표면에 크롬 화합물 피막을 만들어 주는 처리를 말한다.

크로메이트 처리는 아연이나 카드뮴 도금의 광택 및 내식성 향상과 구리, 황동, 은, 주석, 철강, 알루미늄 등의 방식 및 변색 방지 또는 도장의 하지처리 등으로 이용된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217P 참조

58. 옥살산법을 이용하여 알루미늄 양극산화처리를 하고자 한다. 전류밀도가 1.5A/dm²이고, 소재의 표면적이

6dm²인 경우 인가하는 전류의 세기는 얼마인가?

① 4A

② 6A

③ 9A

④ 15A

해설 :

전류 = 전류밀도 * 표면적

전류밀도 = 전류 / 표면적

전류 = 1.5 * 6 = 9A

59. ABS 소재의 도금 공정에서 부타디엔의 요청 형태의 구멍은 어느 공정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가?

① 탈지

② 에칭

③ 수세

④ 연마

해설 :

화학에칭은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주는 공정으로 기계적 방법도 있지만 보통 화학적 방법이 사용된다. 화학적 에칭제로서 ABS수지 속의 브타디엔 입자가 산화 되어 표면에서 용출 되어 미세한 수많은 구멍이 형성된다.

문제와해설 개정 9판 219P 참조

60. 도금작업 중 부스바 위에 물건이 떨어져 양극과 음극이 합선 되었다. 이때 가장 먼저 조치하여야 할 행동

은?

① 메인 스위치를 차단한다.

② 직접 부스바를 해체시킨다.

③ 빨리 떨어진 물건을 치워버린다.

④ 상관에게 보고하고 지시를 기다린다.

해설 : 안전관리 (산업안전)

문제와해설 개정 9판 337P 참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