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ㆍ공부 자료/ㆍ표면처리

71. 주석 및 주석합금도금-2

by 조브로님 2025. 5. 14.
728x90

 

 

1. 알칼리성 주석도금

이 액은 가장 손쉽게 도금할 수 있는 것이지만 산성 주석도금과 같이 광택제에 의해서 광택을 얻을 수는 없다.

액조성도 간단하고 관리도 용이하며 균일전착성도 우수하다. 이 액에는 소다액과 칼리액이 있는데, 성질은 대체적으로 동일하지만 칼리액이 전류밀도 범위도 크고 침전물도 적게 생기므로 좋으며 때때로 혼합액도 사용하고 있다.

<출처 : TCC스틸>

고농도액은 바렐도금용으로 사용 되고 있다.

양극에서 Sn^2+이 적은 양이라도 SnO4^2-로 되어 침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항상 0.5g/ℓ 정도의 과산화수소를 넣어서 작업을 할 때도 있다.

또한 양극은 항상 황녹색의 피막이 있는 상태가 좋은 상태이며, 이 피막이 없어지면 2가의 주석이 용해 되어 나오게 되고, 액은 검은색을 띠게 된다. 이때 과산화수소를 넣어서 4가로 산화시키면 되지만, 양극 전류밀도를 항상 주의해서 황녹색을 유지하도록 한다.

2. 약산성 및 중성 주석도금

전자부품분야 특히 축전기, 저항기 배리스터 및 MLCC 등을 도금할 때 강산성 용액에서 도금 된 것은 H^+ 농도가 강하여 이들이 세라믹 소재내로 침투하여 절연성을 해치거나, 세라믹을 침식하고 단락(Bridging) 불량을 유발할 수가 있다.

그래서 중성에 가까운 도금액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약산성 및 주성 주석도금액의 조성과 작업조건>

또한 MSA 도금액은 피복력과 균일전착성이 좋고 고 전류밀도 도금에도 적합하여, 프린트 기판 도금이나 고속도금에 사용 되고 있다.

자료 출처 :

세진사 [방식 및 표면처리]

문운당 [핵심 도금ㆍ표면처리]

교육부 [금속 표면 처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