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제탈지(Solvent cleaning)란
표면을 오염시키고 있는 그리스(Grease)나 각종 광물성 오일 등을 유기 용제로 용해시켜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탈지시 녹아 나온 유기물의 일부가 표면에 남기 때문에 수세로는 완전한 제거가 어려우므로 예비 탈지 방법으로 많이 이용 된다.
용제로는 석유, 나프타, 가솔린, 트리클로로에틸렌, 퍼클로에틸렌, 메틸렌클로라이드, 알코올, 벤젠, 아세톤 등 다양한 유기물이 사용된다.
용제탈지법은 크게 침지법 및 증기 탈지법으로 나누며, 초음파 장치를 각각에 부착하여 탈지 속도를 증가시키기도 한다. 침지법에 의한 탈지는 대부분 상온에서 예비 탈지를 목적으로 시행되며, 열에 의한 재료이거나 처리물이 대형인 관계로 증기탈지가 어려울 때 사용한다.

증기 탈지 장치는 하부에 용제를 가열하는 장치와 상부에 용제 증기를 냉각하여 되돌려 보내는 냉각 코일이 설치된 용기이다. 증발된 용제는 공기보다 무거우므로 탱크를 채우며 상승하다가 차가운 처리물에 의하여 응축 되면서 오염물을 녹여내게 되며 일부는 상부 냉각층에서 응축되어 하부로 되돌아간다.
녹아 내린 오염물은 일반적으로 용제에 비하여 매우 높은 비등점을 지니므로 작업중에 증발 되는 용제에 섞여 처리물을 재오염시키는 경우는 거의 없어 침지 탈지에 비하여 탈지 효과가 뛰어나다.
탈지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용제에는 용해된 오일 및 수분 등이 축적되게 되어 탈지 성능이 저하되므로 이를 지속적으로 혹은 정규적으로 재생할 필요가 있다.
사용 된 용제는 유수분리기를 통해 먼저 물을 제거한 후 분별 증류기에 넣어 가열 및 응축함으로써 회수가 가능하다.
'ㆍ공부 자료 > ㆍ표면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6. 초음파탈지(Ultrasonic cleaning) (4) | 2024.07.23 |
---|---|
25. 에멀젼탈지(Emulsion cleaning) (3) | 2024.07.23 |
23. 탈지 (4) | 2024.07.17 |
22. 연마-전해연마, 화학연마 (89) | 2024.07.16 |
21. 연마-분사연마 (8) | 2024.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