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황산구리액의 기본 성분은 황산구리와 황산이다.
광택제를 첨가하지 않은 무광택액을 사용하면 결정 입자가 거친 무광택 도금이 얻어지고, 고전류 밀도 부분은 수지상 도금이 되기 쉽다.
|
일반액
|
고균일성 액
|
황산구리 (g/ℓ)
|
150~240
|
60~100
|
황산 (g/ℓ)
|
45~60
|
170~220
|
염소 이온 (g/ℓ)
|
20~120
|
30~100
|
광택제 (g/ℓ)
|
2~10
|
적량
|
액 온도 (℃)
|
20~40
|
20~30
|
전류밀도 (A/dm²)
|
1~10
|
1~4
|
교반
|
중간 교반
|
강한 교반
|
양극
|
함인구리 (0.01~0.5% P)
|
함인구리
|
일반적으로 무광택액을 사용하는 것은 예외적이며,
안정한 광택제를 첨가한 광택 황산구리액이 널리 사용 되고 있다.
2. 액 조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택 도금액은 황산/구리의 비를 10 정도가 되게 한 것으로 액의 전도율읖 높여 균일 전착성을 향상한 도금액이다.
예전에는 프린트 기판 스루 홀 (through hole) 도금에 피로인산구리 도금이 많이 쓰여졌으나, 지금은 거의 대부분 황산구리 도금액으로 대치 되었다.
3. 도금액 제조법
황산구리를 40~50℃ 물에 교반하면서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황산을 첨가하면 된다.
황산을 과도하게 첨가하면 황산구리의 용해도가 감소하여 도금 탱크나 벽에 황산구리 결정이 생성되기 쉬우므로 황산을 증가시킬 때에는 황산구리의 양을 적게 하여야 한다.
4. 황산구리액 성분의 역할
ㆍ황산구리
구리이온의 보급원으로써 액의 전도성을 좋게 한다.
황산구리 농도가 너무 낮으면 음극 효율이 나빠지고, 전류밀도가 큰 모서리 부분이 타게 된다.
한편, 농도가 너무 높으면 피복성이 나빠지고 광택도 저하되며 액온이 낮을 때에는 황산구리가 극판상에 결정으로 석출 된다.
ㆍ황산
도금액 중에 첨가된 황산은 양극 용해를 촉진하고 액의 전도성을 좋게 한다.
ㆍ광택제
광택제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으며 그 중에서 가장 좋은 것은 황화물, 계면활성제, 염료 등을 조합한 것으로서 금속의 광택성, 평활성(leveling), 피복성 등을 좋게 한다.
ㆍ염소 이온
염소 이온은 광택이나 평활제의 보조 작용을 한다.
염소 이온이 부족하면 나뭇가지 모양의 석출물이 도금면에 생기게 되고, 많을 때에는 전류 집중부가 타게 되며 광택이 없는 피막이 된다.
5. 작업 조건 및 관리
ㆍ전류밀도
황산구리 250g/ℓ, 황산 50g/ℓ 와 함께 광택제를 규정량만큼 첨가하고 전류밀도는 1~10A/dm² 범위로 조정한다.
양극판은 인을 함유한 구리판을 사용하는 것이 균일하게 용해 되고 슬러지(sludge) 발생량도 적다.
ㆍ교반
교반에 의하여 광택 범위나 평활 작용의 범위가 넓어지는데 일반적으로 공기 교반을 하고 있다.
ㆍ여과
도금액 중에 존재하는 불순물, 양극으로부터 나온 슬러지 등을 제거하여 조잡한 도금을 방지하고, 광택과 평활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연속 여과시켜야 한다.
ㆍ액온
도금액의 온도는 20~30℃로 한다. 상한 온도는 광택제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30~33℃를 넘으면 광택이나 평활성이 나빠지기 시작한다. 따라서, 대량 생산 도금 설비의 경우 여름철에는 냉각 장치를 필요로 한다.
ㆍ도금액의 관리
황산구리액의 관리는 알칼리액에 비해 간단하다.
광택을 좋게 하는데에는 액온의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적당한 온도는 30℃ 이하이다.
액량과 전류와의 관계는 전류를 액량으로 나눈 값으로 나타내는데 정지액 0.3~0.4A/ℓ 로서 1000A를 흐르게 하기 위해서는 약 2500~3000ℓ의 액량이 필요하다.
염소 이온의 양이 적당한지 어떤지는 헐셀 시험으로 조사하며, 적을때에는 저전류밀도 부분의 도금에 광택이 없어진다. 광택제를 첨가해도 광택성이 회복 되지 않을때에는 염산을 첨가한다.
황산구리액은 금속 불순물의 혼입이 문제가 되는 일은 적고, 주로 유기 광택제의 분해 생성물의 용액 내 축적이 문제가 된다. 액 중에 유기 불순물이 많아지면 피트나 광택 불량이 발생 되기 쉽기 때문에 활성탄 여과를 정기적으로 행하여야
6. 석출원리
황산구리 도금액의 기본 조성은 황산구리와 황산을 물에 용해시켜 만든다. 도금액 중에서 황산구리는 해리하여 2가의 구리 이온이 석출 된다.
CuSO4 ↔ Cu^2+ + SO4^2-
H2SO4는 다음과 같이 해리한다.
H2SO4 ↔ 2H^+ + SO4^2-
음극에서는 2가의 구리 이온이 2개의 전자를 얻어 환원 되어 음극에서 석출 되고 수소 이온도 음극에서 수소가스로 되어 발생한다. 음극전류효율은 거의 100%이고 실제로 수소 가스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Cu → Cu^2+ + 2e → Cu (음극)
2H2 + 2e → H2 (수소가스 발생) (음극)
양극에서는 금속구리가 전자를 잃어버려(산화) 2가의 Cu 이온 Cu^2+가 생기고 H2O는 전기분해하여 수소 이온과 산소 가스가 생성 된다.
Cu → Cu^2+ + 2e (양극)
H2O → 2H^+ + ½O2 + 2e (산소가스 발생) (양극)
자료 출처 :
세진사 [방식 및 표면처리]
문운당 [핵심 도금ㆍ표면처리]
교육부 [금속 표면 처리]
'ㆍ공부 자료 > ㆍ표면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8. 니켈도금 (0) | 2024.08.06 |
---|---|
37. 구리도금-붕불화구리도금 (0) | 2024.08.06 |
35. 구리도금-피로인산구리도금 (2) | 2024.08.05 |
34. 구리도금-시안화구리도금 (2) | 2024.08.04 |
33. 구리도금 (2) | 2024.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