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표면처리27

25. 에멀젼탈지(Emulsion cleaning) 에멀젼탈지란 수용액 속에 분산된 유기 용제를 이용하여 금속이나 비금속 제품의 표면에 존재하는 더러움을 제거하는 방법이다.​유기용제를 물속에 혹은 물을 유기 용제 속에 분산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약품을 유화제 혹은 계면 활성제라고 한다. ​에멀젼탈지는 안정성에 따라 네가지 유형으로 분류 된다.ㆍ단상 안정형 에멀젼물에 용제가 혹은 용제에 물이 완전히 분산되어 안정화된 것으로 가장 경제적이다.석유류 등을 물에 분산시킨 것으로써 오염도가 크지 않은 물건의 탈지에 적합하며 탈지 후 녹을 당분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ㆍ단상 불안정형 에멀젼물 속에 여러 용제를 용해시켜 경계층이 없는 단일상으로 만든 에멀젼으로서 비중이 1보다 작은 용제는 상층에,비중이 큰 용제는 하층에 분포하게 된다. 따라서 완전한 분산을 위해서는.. 2024. 7. 23.
3. 금속재료-물리적 특성 1. 비중(specific gravity)물과 똑같은 부피를 가진 물체의 무게와의 비를 비중(specific gravity)이라 하며, 일반적으로 비중이 5.0 이하의 것을 경금속(light metal)이라 하고, 이보다 무거운 것을 중금속(heavy metal)이라 한다.  나. 비열(specific heat)물질 1g의 온도를 1℃만큼 높이는 데 필요한 열량을 그 물질의 비열(specific heat)이라 한다. 물 1g을 온도 1℃만큼 높이는 데 필요로 하는 열량은 1cal이다.  다. 용융온도(melting temperature)금속을 가열하면 녹아서 액체가 된다. 이때의 온도를 용융온도(meltingtemperature) 또는 융점이라 한다. 반대로 액체가 되어 있는 고온 상태의 금속을 냉각 시.. 2024. 7. 18.
24. 용제탈지 용제탈지(Solvent cleaning)란표면을 오염시키고 있는 그리스(Grease)나 각종 광물성 오일 등을 유기 용제로 용해시켜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탈지시 녹아 나온 유기물의 일부가 표면에 남기 때문에 수세로는 완전한 제거가 어려우므로 예비 탈지 방법으로 많이 이용 된다.용제로는 석유, 나프타, 가솔린, 트리클로로에틸렌, 퍼클로에틸렌, 메틸렌클로라이드, 알코올, 벤젠, 아세톤 등 다양한 유기물이 사용된다. 용제탈지법은 크게 침지법 및 증기 탈지법으로 나누며, 초음파 장치를 각각에 부착하여 탈지 속도를 증가시키기도 한다. 침지법에 의한 탈지는 대부분 상온에서 예비 탈지를 목적으로 시행되며, 열에 의한 재료이거나 처리물이 대형인 관계로 증기탈지가 어려울 때 사용한다. 증기 탈지 장치는 하부에 .. 2024. 7. 18.
표면처리기능 필답-8 표면처리기능장 필답 출제 예상 문제를 다시 엄선하여 하루에 10~20문제 정도 올릴려고합니다.앞전 자료에서 중복 되는 자료들이 있을겁니다.​준비 잘하셔서 76회차 표면처리기능장 좋은 결과 있길 바랍니다.​​71. 황산구리 도금욕의 도금불량원인에서 해면모양의 도금이 석출되는 원인은 구리분의 부족이나 전류과대에서 오는데 그 대책을 쓰시오.-황산구리 첨가, 전류밀도 낮춤​​72. 시안화구리도금의 각 약품의 역할을 적으시오.-시안화구리+시안화나트륨 : 구리이온의 보급원-수산화나트륨 : pH를 높이고, 액의 전도율과 피복력 향상-티오시안화칼륨 : 광택제로 첨가, 도금면의 광택 및 평활성 개선​​73. 다음은 황산구리 도금의 불량 원인이다. 대책은 무엇인가?-양극불용성 피막 : 염화물과잉, 질산은 혼입-암적색의 밀.. 2024. 7. 17.
23. 탈지 1. 탈지란?표면의 청정도는 최종 표면처리 제품의 성질에 근복적으로 영향을 끼친다.깨끗하지 못한 면에 전기도금을 하게 되면 도금층의 밀착성이 떨어져 박리가 일어나며, 흠이나 부풀음 등이 발생하고 광택성이 나빠지게 되고, 도금의 취성 및 부식이 발생한다. 탈지(Degreasing, Cleaning)는 금속 표면에 묻어 있는 산화물, 수산화물, 금속염 및 각종 기름때 등을 제거하여 불순물이 없는 깨끗한 표면을 만들어 주는 작업이다. 금속 표면에 존재하는 각종 오염물은 재질, 형태, 가공 방법, 주변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므로 가공물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탈지 과정을 정할 필요가 있다.  주요 방법에는 용제탈지, 에멀젼탈지, 알칼리탈지, 전해탈지 등이 있다.완전한 탈지를 위하여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탈지법을 .. 2024. 7. 17.
22. 연마-전해연마, 화학연마 1. 전해연마는 고농도의 산이나 알칼리 용액에서 가공물을 양극으로 하여 전기적으로 용해시켜 표면을 평활하게 만드는 과정이다.음극으로는 구리, 납, 스테인리스, 강 및 탄소봉 등이 사용 된다.양극인 금속의 표면에는 용해된 금속 이온이 전해질과 반응하여 전기 저항이 큰 점액질과 전해 반응에 의해 생성 된 산소가 혼재된 피막이 완만한 곡면의 형태로 뒤덮이게 된다.그림과 같이 돌출 부분의 저항이 오목한 부분에 비하여 적게 되어 돌출부에 전류가 집중 되면서 우선 용해가 진행 되어 전체적으로 평활한 표면이 얻어진다.전해연마는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합금, 구리 및 그 합금, 내열강, 소형 저 합금강 등을 처리하는데 많이 사용 된다.   2. 화학연마는 전해연마와 유사하게 볼록한 부분을 화학저긍로 우선 용해시켜 평활.. 2024. 7.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