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속재료30

7. 금속재료-금속조직 1. 결정의 생성과 발달아래 그림은 순금속의 결정성장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a)는 순금속을 냉각할 때 열의 방출과 더불어 온도가 강하되고, 응고점에 도달하였을 때 융체 내부의 여러 부분에 작은 결정이 발생하여 이것이 핵으로 급속히 성장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b)는 결정의 발달을 설명하는 것으로, 1개의 결정핵이 발달하여 그 금속원자 고유의 결정격자를 이루면서 나뭇가지 모양으로 결정을 이룬다. 이런 것을수지상결정(dendrite)이라고 한다. 또 결정은 그림 (b)와 같이 ①, ②, ③의 순서에 따라 인접된 단결정이 서로 충돌, 간섭하면서 결정경계선(crystal boundary line)이 형성됨을 알 수 있으며, 결정의 핵(nucleus)이 1개로 크게 성장하면 수정과 같은 단결정이 된다... 2024. 7. 21.
6. 금속재료-금속조직 1. 금속의 응고ㆍ금속과 합금의 제조방법고체 금속은 여러 가지 제조 방식으로 생산되고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방식은 다음과 같다.① 승화법에 의한 농축방법 : 아연② 전기 분해법 : 전기 구리(전기동), 전기 니켈③ 금속과 용재의 단련방법 : 연철④ 분말 야금법 : 텅스텐선(tungsten wire), 탄화텅스텐 공구⑤ 용해에 의한 방법 : 주물(casting)제조 또는 강괴(steel ingot)로 만든 것을 다시 기계적 처리를 하여 소재로 제조함.위의 ①~⑤까지 방법 중에서 공업용 금속재료로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용해에 의한 방법이다.  2. 순금속의 응고ㆍ응고와 과냉 현상순금속을 용해온도보다 높은 용융상태로부터 상온까지 서서히 냉각하여 응고점 (freezing point)에 도달하면 일정한 온.. 2024. 7. 20.
5. 금속재료-비금속재료 1. 비금속 재료의 정의금속의 성질을 갖지 않는 물질을 총칭하며 일반적으로 전기나 열의 전도성이 나쁘고 금속광택을 나타내지 않는다.   2. 비금속 재료의 분류기계를 구성하고 있는 재료에는 금속재료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것은 금속이 강도가 크고, 경도가 높고 또한 가공성이 우수하므로 그 가치가 인정되었기 때문이다. 금속과 합금은 그 종류가 많아 각각의 필요성을 만족시키고 있으나 우리가 필요로 하는 것을 금속재료로 전부 충족시킬 수는 없다.기계공업에 쓰이는 재료에는 앞에서 설명한 금속재료 이외에 내화물, 연마재, 숫돌, 시멘트, 유리 등의 무기질로 되는 무기재료와 목재, 접착제, 합성수지, 고무, 도료, 윤활제 등의 유기질로 되는 유기재료인 비금속재료도 많이 쓰인다. 비금속재료를 크게 분류하면 다음.. 2024. 7. 20.
4. 금속재료-자기적, 화학적, 광학적 특성 1. 자기적 특성ㆍ자성철을 자장(magnetic field)에 놓으면 유도 작용에 의하여 자화되어 자석이 된다. 이때 자장의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자화되는 정도도 증가하며, 자장의 강도를 계속해서 증가해 가면 자화의 강도는 어느 포화점에 달한다. 이러한 성질은 철이나 Co 및 Ni에서 나타난다.대표사진 삭제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상자성체의 경우에서 자장의 강도 H와 자화의 강도 I가 같은 방향으로 되는 것으로서 다른 극이 상대하는 것처럼 생기는 것을 상자성체(paramagnetic substance), 반자성체의 경우에서 자장 H와 자화의 강도 I가 반대방향으로 되는 것을 반자성체(diamagneticsubstance)라고 한다. 상자성체는 Fe, Ni, Co, Sn, Pt, Mn, Al 등이 있으며,.. 2024. 7. 19.
3. 금속재료-물리적 특성 1. 비중(specific gravity)물과 똑같은 부피를 가진 물체의 무게와의 비를 비중(specific gravity)이라 하며, 일반적으로 비중이 5.0 이하의 것을 경금속(light metal)이라 하고, 이보다 무거운 것을 중금속(heavy metal)이라 한다.  나. 비열(specific heat)물질 1g의 온도를 1℃만큼 높이는 데 필요한 열량을 그 물질의 비열(specific heat)이라 한다. 물 1g을 온도 1℃만큼 높이는 데 필요로 하는 열량은 1cal이다.  다. 용융온도(melting temperature)금속을 가열하면 녹아서 액체가 된다. 이때의 온도를 용융온도(meltingtemperature) 또는 융점이라 한다. 반대로 액체가 되어 있는 고온 상태의 금속을 냉각 시.. 2024. 7. 18.
24. 용제탈지 용제탈지(Solvent cleaning)란표면을 오염시키고 있는 그리스(Grease)나 각종 광물성 오일 등을 유기 용제로 용해시켜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탈지시 녹아 나온 유기물의 일부가 표면에 남기 때문에 수세로는 완전한 제거가 어려우므로 예비 탈지 방법으로 많이 이용 된다.용제로는 석유, 나프타, 가솔린, 트리클로로에틸렌, 퍼클로에틸렌, 메틸렌클로라이드, 알코올, 벤젠, 아세톤 등 다양한 유기물이 사용된다. 용제탈지법은 크게 침지법 및 증기 탈지법으로 나누며, 초음파 장치를 각각에 부착하여 탈지 속도를 증가시키기도 한다. 침지법에 의한 탈지는 대부분 상온에서 예비 탈지를 목적으로 시행되며, 열에 의한 재료이거나 처리물이 대형인 관계로 증기탈지가 어려울 때 사용한다. 증기 탈지 장치는 하부에 .. 2024. 7. 18.